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'양육비 선지급 신청 방법 및 산정기준표

by tulip kim 2025. 3. 17.

🔧 오는 2025년 7월부터 시행되는 '양육비 선지급제'

 

 

 

여성가족부

 

 

📈 양육비 선지급제란?

오는 2025년 7월부터 '양육비 선지급제'가 실행 됩니다. 이는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국가가 먼저 양육비를 지급한 후, 이를 비양육자(양육비 채무자)에게 돌려 받는 제도입니다.

이 제도의 중요 목표는 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양육환경 조성비양육자의 양육 책임 강화입니다. 국가가 직접 개입하여 양육비 지급을 보장함으로써 양육비 미지급 문제를 해결하고, 한부모가족의 경제적 부담을 줄여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.

 


📅 1. 양육비 선지급제의 주요 내용

💰 1) 지원 금액 및 지급 기간

  • 미성년 자녀 1인당 월 20만 원을 지급합니다.
  • 지급 기간은 자녀가 성년(만 18세)이 될 때까지입니다.
  • 2025년 6월 중 여성가족부 장관이 공식적으로 안내할 예정입니다.

👨‍👩‍👦 2) 신청 대상 및 요건

<p

 

양육비 선지급을 신청할 수 있는 대상은 다음과 같습니다:

  • ✅ 양육비 채무자가 신청일이 속한 달의 직전 3개월 동안 양육비를 지급하지 않은 경우 입니다.
  • ✅ 가구의 소득인정액이 기준중위소득 150% 이하인 경우
  • 양육비 이행확보를 위한 노력을 기울인 경우 (예: 법적 절차 진행)

📋 3) 선지급금 회수 방안

  • 국가는 양육비 채무자에게 선지급금 회수 통지서를 송달하고, 30일 이상의 기한 내에 납부를 독촉합니다.
  • 납부하지 않을 경우, 국세 강제 징수 제도를 이용하여 회수합니다.
  • 양육비 채무자의 국세, 지방세, 토지, 부동산 정보를 조회하여 강제 회수할 수 있도록 조치되었습니다.
  • 출국금지 조치 적용: 채무자가 장기간 납부하지 않을 경우 출국금지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.
  •  


📩 4. 양육비 선지급 신청 방법

양육비 선지급을 신청하려면 아래 방법을 이용하여 신청할 수 있습니다.

  1. 여성가족부 양육비 이행관리원 홈페이지 방문 (https://www.childsupport.go.kr)

 

  1. 온라인 신청서 작성 및 제출
  2. 소득 및 양육비 미지급 증빙서류 제출 (예: 법원 판결문, 미지급 내역서, 가구소득 증명 등)
  3. 심사 후 결과 통보 (평균 30일 소요, 추가 서류 요청 시 연장 가능)
  4. 승인 시, 양육비 선지급 개시 및 지급 일정 안내
  5. 지급 후 정기적인 자격 심사 및 필요 시 서류 갱신

📞 문의: 여성가족부 양육비 이행관리원 (☎️ 국번 없이 1644-6621) 또는 거주 지역의 한부모가족 지원센터 방문 상담 가능


🚫 5. 부정수급 방지 대책

정부는 부정수급을 방지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조치를 시행합니다:

  • 🔍 정기적인 소득 및 자격 심사 실시
  • 📜 허위 서류 제출 시 즉각적인 지원 중단 및 환수 조치
  • ⚖️ 부정수급 적발 시 법적 처벌 강화 (최대 징역 3년 또는 벌금 3천만 원 부과)
  • 🔎 신고 시스템 운영: 부정수급 의심 사례를 접수받아 조사하는 체계 마련했습니다.
  • 🏛 데이터 분석 강화: 금융거래 내역 및 소득 정보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도입했습니다.
  •  
  •  

양육비 산정기준표 개요 📋


1. 양육비 산정기준표의 중요성 🌟
양육비 산정기준표는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데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공정하게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. 이 표를 통해 부모는 자신의 소득 수준에 맞는 양육비를 산정할 수 있습니다. 표에서 확인 바랍니다.

2. 구성 🏗️
양육비 산정기준표는 주로 부모의 소득 수준과 자녀의 연령에 따라 구분됩니다. 예를 들어, 부모의 소득이 0원에서 2,000,000원 사이일 경우, 자녀의 연령에 따라 필요한 양육비가 다르게 산정됩니다.

2025년 양육비 산정표 📊
0~2세 👶
소득 0~199만원: 621,000원
소득 200~299만원: 752,000원
소득 300~399만원: 945,000원
소득 400~499만원: 1,098,000원
소득 500~599만원: 1,245,000원
소득 600~699만원: 1,401,000원
소득 700~799만원: 1,582,000원
소득 800~899만원: 1,789,000원
소득 900~999만원: 1,997,000원
소득 1000~1199만원: 2,095,000원
소득 1200만원 이상: 2,207,000원
3~5세 👧
소득 0~199만원: 631,000원
소득 200~299만원: 759,000원
소득 300~399만원: 949,000원
소득 400~499만원: 1,113,000원
소득 500~599만원: 1,266,000원
소득 600~699만원: 1,422,000원
소득 700~799만원: 1,598,000원
소득 800~899만원: 1,807,000원
소득 900~999만원: 2,017,000원
소득 1000~1199만원: 2,116,000원
소득 1200만원 이상: 2,245,000원


양육비 산정 시 유의사항 ⚠️
양육비 산정은 부모의 소득과 자녀의 필요를 고려하여 이루어져야 하며, 법원에서도 이 기준표를 활용하여 양육비를 결정합니다.
양육비에 관한 부모의 협의가 이루어지지 않거나 협의할 수 없는 경우, 가정법원에 청구하여 정할 수 있습니다.
2025년 양육비 산정표는 부모의 소득과 자녀의 나이에 따라 적정한 양육비를 산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 표를 통해 부모는 자녀의 복지를 위해 필요한 재정적 지원을 공정하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. 양육비 산정은 법적 분쟁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. 😊


🌟 6. 여성가족부 장관의 계획

여성가족부 장관은 양육비 선지급제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계획을 이행하고 있습니다:

  1. 선지급금 회수율 제고 - 강제 징수 방안을 개선하고, 국세청 및 금융기관과 협업하여 보다 효과적인 회수 체계를 마련합니다.
  2. 홍보 및 교육 확대 - 국민 인식 개선을 위해 공익 광고, 지역별 설명회, 온라인 콘텐츠를 활용한 교육을 강화합니다.
  3. 한부모가족 지원 확대 - 경제적 지원 외에도 심리 상담, 직업훈련, 주거 지원 등을 포함한 종합적인 지원 체계를 구축합니다.
  4. 부정수급 관리 강화 - 인공지능을 활용한 실시간 데이터 분석과 감시 체계를 확립하고, 부정수급 적발 시 강력한 법적 조치를 시행합니다.
  5. 정책 지속 발전 - 수혜자의 피드백을 적극 반영하여 법령 및 시행령을 지속적으로 보완하며, 관계부처와 협력하여 정책의 실효성을 높입니다.
  6. 시스템 구축 및 법령 개정 - 6월까지 선지급제 시스템을 구축하고,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하여 양육비이행법 시행령 개정을 완료할 계획입니다.
  7.  

이러한 정책 개선을 통해 양육비 선지급제가 한부모가족에게 실질적인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보완과 발전이 이루어질 계획입니다.